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쉘 스크립트 #1 (아파치 자동 재시작 스크립트) 리눅스 시스템을 관리하다 보면, 쉘 스크립트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저자는 쉘프로그램관련 강좌(bash, awk, sed)를 쓰고 싶었다. bash문법, awk문법, sed사용법을 묶은 강좌를 만들고 싶었다.. 하지만, 이것은 나를 위한 정리일 뿐이다. 내가 정리하여 강좌를 쓴다면, 읽는 사람들은 필요하지도 않은 문법을 머리속에 넣어야 하고, 그 조합으로 실무에 적용시키기위해서 수 없이 많은 노력을 할 것이다. 이런 강좌는 필요하지 않다. 정리는 man 페이지를 보면 자세하게 나와 있다. 저자는 리눅스 시스템 관리에 자주 사용되는 쉘 스크립트를 경험담을 담아 강좌를 써 보려고 한다. 최대한 간단하게 만들어서 누구든 쉽게 써..
VM에 Vista를 설치 하였는데 디폴트 용량이 16기가 입니다. 근데 이것이 Vista만 설치해도 용량이 14기가 정도를 먹더군요. 그래서 하드 용량을 늘리는 법을 검색했습니다. 보통 아래 처럼 VM이 설치된 폴더에서 vmware-vdiskmanager.exe 를 이용하여 늘립니다. 사용법은 vmware-diskmanager.exe -x [총 용량 (원래 용량 + 늘릴용량)] "용량을 늘릴 이미지경로\용량을 늘릴 이미지.vmdk" 이렇게 하시면 됩니다. 아래 스샷을 참고하세요. 그런데 이렇게 늘리고 난 후 VM 이미지를 다시 불러오면 아래 스샷처럼 용량은 30기가로 잡혀있으나, 막상 윈도우로 진입하면 원래용량 16기가 그대로 입니다. 그러고 보니 하드 용량을 늘린 후 아래와 같이 경고가 떳었드랬죠.....
자바5 설치# apt-get install sun-java5-jdk-- 테스트# java아파치 톰캣(5.5.27)* 공식사이트 : http://tomcat.apache.org1. 내려받기# wget http://ftp.kaist.ac.kr/pub/Apache/tomcat/tomcat-5/v5.5.27/bin/apache-tomcat-5.5.27.tar.gz2. 설치# cp ./apache-tomcat-5.5.27.tar.gz /usr/local# cd /usr/local# tar xvf apache-tomcat-5.5.27.tar.gz# mv apache-tomcat-5.5.27 tomcat-- 꼭 참고할 문서# vi /usr/local/tomcat/RUNNING.txt** 환경변수 등록-- JAVA_H..
1. 제일 처음 VMware 실행 화면에서 New Virtual Machine를 클릭한다 2. 클릭하면 커스텀을 선택해서 다음 3. 현재 시스탬 상황을 보여줌 4. 인스톨할 이미지(우분투 9.04) 위치 선택해준다 5. 쉬운 인스톨을 위해 계정이름//비밀번호 입력 함. 설정해야 넘어간다 6. 가상 이미지가 저장될 위치 지정과 보여질 가상 이미지 이름 7. 자신의 컴퓨터 CPU갯수 설정(듀얼코어라 2개로 설정했다) 8. 메모리 설정 추천하는대로 해도 되고 맘대로 해도 된다 단 적게 하면 할수록 버벅인다는것. 9. 네트워크 연결 방법 설정. host 컴퓨터에서 공유하는 방식인 nat로 설정 왠만하면 이걸로 하는게 낫다고 봄 10. I/O어답터 설정인데 추천하는걸로 하자 엄한거 건드렸다가는 망칠수도 있다.....
realVNC tightVNC 등등… 오만 지럴 해봤는데 안되고 VNC로 하면 속도도 느리다고 해서 FreeNX로 해볼려고 마음먹었다. 댄장.. 이건 뭐.. 죄다 8.10버젼 기준이라 그런지 9.04버젼은 맞는게 없다... -_- 할때마다 꼬여서 리눅스도 다시깔고 했는데.. 마침 http://crazyits.tistory.com/ 에서 내가 원하던 자료를 찾아서 이렇게 적는다. 1. 먼저 FreeNX에 관련된 저장소를 추가 gksudo gedit /etc/apt/sources.list 편집기 창에서 밑의 2줄 입력후 저장 deb http://ppa.launchpad.net/freenx-team/ppa/ubuntu jaunty main deb-src http://ppa.launchpad.net/freenx..